
2010년 1월 18일에 보현산천문대의 BOES 분광기(200 ㎛ fiber, R~45000)로 얻어진 태양 스펙트럼입니다. 스펙트럼 정보에 가상의 색을 입혀서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표현하였습니다. 보현산천문대는 국내에서 가장 구경이 큰 1.8m 망원경을 보유하고 있는 연구시설입니다. 경북 영천의 보현산에 해발고도 1,100미터 정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1.8m 망원경의 돔은 사각형으로 되어있는 하얀색 건물이라 보현산이 보이는 지역 어디에서 보더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사진은 20km 떨어진 영천 시내에서 아주 작은 3cm 구경의 광학장비로 촬영한 보현산 천문대의 모습니다. 레이저를 이용한 광통신 실험을 수행하면서 얻어진 것으로 화질은 좋지 않지만 0.01도 정도로 정밀하게 보현..
Python을 처음 시작하는 분도 읽으면서 따라갈 수 있도록 기본적인 설명이 담긴, Python Basic 문서입니다. *** 교육자료 *** *** 실습자료 *** python_basic_examples.zip drive.google.com Python은 상대적으로 초보자가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대부분의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천문학에서는 Python을 크게 3가지 정도의 용도로 사용합니다. (1) 천문 관측 이미지 및 자료 분석; 별의 밝기 구하기, 스펙트럼 얻기 등등 (2) 관측 결과 및 계산 결과를 그래프 등으로 가시화; 색등급도 그리기, 밝기변화 곡선 그리기 등등 (3) 수치모형 제작 및 계산; 중력렌즈, 외계행성 밝기변화 모형 등등 그리고 기타 간단한 도구들 혹은 자신만을 위한 특..

비눗방울에서는 어째서 이렇게 화려한 색깔들이 나타나는 걸까요? 비눗물 속에 포함된 기름 성분이 표면에 얇은 막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물 위에 다른 성분의 얇은 막이 있는 비눗방울 표면에서 빛은, 반사되는 경로가 두개로 늘어납니다. 첫번째 반사는 바로 그 얇은 기름 막 표면에서 반사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그냥 기름이나 물 표면에서 빛이 반사되는 것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색을 가질 이유가 없습니다. 두번째 반사는 얇은 기름을 뚫고 들어간 빛이 기름과 물 사이에서 반사하게 됩니다. 이 또한 그냥 반사가 일어나는 것이기에 색이 나타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두 경로로 반사된 빛은 서로 다른 경로를 지나쳐 다시 만나기 때문에, 미세한 경로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경로차이(path l..

혜성의 먼지꼬리는 태양 중력과 태양빛에 의한 압력이라는 두 요소에 의해 만들어지는 작품입니다. 동시에 혜성에서 떨어져나온 입자들은 질량와 크기가 서로 다릅니다. 질량이 작지만 면적이 큰 입자들은 태양의 중력보다 빛에 의한 압력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그래서 중력에 의한 궤도 운동을 하는 혜성에서 점점 더 빠르게 멀어집니다. 서로 다른 입자의 특성이 서로 다른 궤도를 만들고, 서로 다른 시기에 떨어진 입자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게 됩니다. 같은 시기에 혜성에서 떨어져나간 입자를 연결한 선을 싱크론(synchrone)이라 하며 같은 특성을 가진 입자를 서로 이은 것을 신다인(syndyne)이라고 합니다. 이 두 선이 만들어내는 그물구조가 결국 멋진 혜성 꼬리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여기서는 혜성 먼지꼬리의..
파면의 한 점이 다시 파원이되어서 새로운 파면을 만들어낸다는, 하위언스-프레스넬의 원리를 단일 슬릿에 적용하여 간단히 구현해본 회절 시뮬레이션 입니다. 코드는 굉장히 단순합니다. 파동이 통과하는 단일슬릿의 크기를 정하고 그 슬릿의 위치를 분할하여 하나의 파원이라고 생각하고 원형으로 퍼져나가는 파동의 파면 혹은 세기를 다시 재현한 것입니다. 이 사각형 전체의 틀을 2m 라고 가정하면, 수면파의 진행모습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간단한 원리를 구현한 코드를 이용하면 단일슬릿에 의한 파동의 회절 무늬를 재현해볼 수 있습니다. 1. 슬릿크기 a = 100mm일 때, - 파장 lambda = 10mm, 20mm, 30mm 일 경우, 회절에 의한 파동의 진행 모습 - 파장별로 달라지는, 회절각도에 따른 파동의 ..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대부분은, NASA의 외계행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다음 그림과 같이 트랜짓(Transit)과 시선속도(Radial Velocity) 관측으로 발견된 것입니다. [출처: exoplanetarchive.ipac.caltech.edu/exoplanetplots/ ] 트랜짓(Transit) 관측은 다음 그림과 같이 별의 앞을 행성이 지나가게 될 때, 별 빛이 감소하는 현상을 감지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별의 크기에 대한 행성의 크기 비율을 바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별의 크기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분광형에 따른 별의 크기는 대략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행성의 크기 또한 꽤 정확하게 예측 가능합니다. 그리고 행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