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계행성 별표면 통과 현상 관측에서 중요한 요소는, 행성의 크기와 궤도 장반경을 직접 도출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행성의 크기와 궤도장반경은, 행성에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외계행성이 너무 크다면, 목성과 같은 거대 기체 행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가 아는 형태의 생명이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행성이 별과 너무 가깝거나 너무 멀면, 행성이 너무 뜨겁거나 너무 차갑기 때문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없으며 지구와 같이 생명의 씨앗이 뿌리내리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행성의 크기와 궤도 장반경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그 행성에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와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그러나 밝기 변화 곡선을 통해 얻어지는 것은 "부모별의 크기에 대한" 행성 크기와..

외계행성 트랜짓 현상을 관측하고 분석하려면,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사전에 트랜짓 현상를 예측하고 해당 천체를 관측하여 자신의 관측 방법과 분석 방법을 검증하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덕흥천문대에서는 외계행성 트랜짓 현상 관측을 중요한 연구과제로 수행하고 있으며, 전국의 청소년이 자신만의 장비를 통해 관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알려진 트랜짓 현상이 언제 일어나는지 미리 알 수 있도록 공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홈페이지에 공지하고 있는 외계행성 트랜짓 현상 예측 그래프를 그리는 도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덕흥천문대 현재 전천 및 기상정보 : http://nysc.dothome.co.kr *** TransitSearch3 다운로드 링크 및 방법 : https://github.com/psychiee/Tr..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대부분은, NASA의 외계행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다음 그림과 같이 트랜짓(Transit)과 시선속도(Radial Velocity) 관측으로 발견된 것입니다. [출처: exoplanetarchive.ipac.caltech.edu/exoplanetplots/ ] 트랜짓(Transit) 관측은 다음 그림과 같이 별의 앞을 행성이 지나가게 될 때, 별 빛이 감소하는 현상을 감지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별의 크기에 대한 행성의 크기 비율을 바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별의 크기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분광형에 따른 별의 크기는 대략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행성의 크기 또한 꽤 정확하게 예측 가능합니다. 그리고 행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