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눈이 보는 색, Colors through human eyes 우리 눈이 받아들이는 색은 의외로 코에서 느끼는 향기와 비슷하다. 둘 다 그 정체를 정량적으로 혹은 말로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우리 몸은 생각보다 자세히 그리고 직관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해낸다. 코는 향을 분광기처럼 분해해서 향기 스펙트럼으로 만들어 인식한다. 픽셀은 하나지만, 향의 스펙트럼을 얻어내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수 천 개에 달하는 기본 물질에 반응하는 후각 세포가 각각의 향마다 반응하는 세포를 기억해뒀다가 재생한다고 말할 수 있다. 만약 앞서 이야기한 빛 스펙트럼과 비교한다면, 수 천 개의 파장을 가진 향기 스펙트럼이 우리 뇌로 들어가서 다양한 자극을 분리하여 인식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 우리는 향을 ‘분리’해낼 수 있..
이 자료는 2021년 12월 충남대학교 학생을 위한 특강으로 진행된 것입니다. 별 스펙트럼의 원소 흡수선을 가지고 별을 어떻게 분류해냈으며, 천체물리학적으로 원소 흡수선의 세기를 예측하고 계산하여스펙트럼으로부터 별 대기의 정보를 알아내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래 예제는 별 스펙트럼에서 보이는 흡수선의 세기가 어떻게 결정되는지,Saha Equation과 Boltzmann Equation을 이용하여 간단히 계산해보는 코드입니다. 세실리아 페인(Cecilia Payne-Gaposchkin)이 했던 작업을 가볍게 재현해보는 과정입니다. 0. Lecture Note 1. Prepare Python Tools - the code requires numpy, matplotlib - recommend to..
Tools for Automatic Data reduction of Echelle Spectra (TADES) 덕흥천문대 NYSC 1m 망원경에 부착된, eShel 분광기로 얻어진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Python 도구 입니다.(다른 분광자료는 이 코드로 처리가 불가능합니다.) 분광자료 처리를 위해서는, 분광기가 만들어내는 분광 이미지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생성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여기서 기술한 처리과정에 대한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덕흥천문대에서는 분광자료를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기 원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캠프를 운영하며 현장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청소년은 국립청소년우주센터에서 진행하는 청소년 원격관측 모집에 참여하면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T..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대부분은, NASA의 외계행성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다음 그림과 같이 트랜짓(Transit)과 시선속도(Radial Velocity) 관측으로 발견된 것입니다. [출처: exoplanetarchive.ipac.caltech.edu/exoplanetplots/ ] 트랜짓(Transit) 관측은 다음 그림과 같이 별의 앞을 행성이 지나가게 될 때, 별 빛이 감소하는 현상을 감지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별의 크기에 대한 행성의 크기 비율을 바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별의 크기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분광형에 따른 별의 크기는 대략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행성의 크기 또한 꽤 정확하게 예측 가능합니다. 그리고 행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