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ls for Automatic Data reduction of Echelle Spectra (TADES) 덕흥천문대 NYSC 1m 망원경에 부착된, eShel 분광기로 얻어진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Python 도구 입니다.(다른 분광자료는 이 코드로 처리가 불가능합니다.) 분광자료 처리를 위해서는, 분광기가 만들어내는 분광 이미지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생성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여기서 기술한 처리과정에 대한 이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덕흥천문대에서는 분광자료를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기 원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캠프를 운영하며 현장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심 있는 청소년은 국립청소년우주센터에서 진행하는 청소년 원격관측 모집에 참여하면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T..

Tools for Aperture Photometry of a transiting Exoplanet (TAPE) 덕흥천문대의 1m 광학망원경을 이용하여 얻어진 이미지를 읽어서, 일괄 전처리하고, 별을 찾아 이미지 정렬과 구경 측광(aperture photometry)을 통해 시간에 따른 대상의 밝기 변화를 도출하는 도구입니다. 별의 이미지로부터 별의 밝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과정은 CCD 카메라의 원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덕흥천문대에서는 CCD 카메라로 얻어진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이해하고, 이미지 속 별의 밝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별의 밝기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청소년은 국립청소년우주센터에서 진행..

외계행성 별표면 통과 현상 관측에서 중요한 요소는, 행성의 크기와 궤도 장반경을 직접 도출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행성의 크기와 궤도장반경은, 행성에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외계행성이 너무 크다면, 목성과 같은 거대 기체 행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우리가 아는 형태의 생명이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행성이 별과 너무 가깝거나 너무 멀면, 행성이 너무 뜨겁거나 너무 차갑기 때문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없으며 지구와 같이 생명의 씨앗이 뿌리내리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행성의 크기와 궤도 장반경을 정확하게 아는 것은 그 행성에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와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그러나 밝기 변화 곡선을 통해 얻어지는 것은 "부모별의 크기에 대한" 행성 크기와..

외계행성 트랜짓 현상을 관측하고 분석하려면,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사전에 트랜짓 현상를 예측하고 해당 천체를 관측하여 자신의 관측 방법과 분석 방법을 검증하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덕흥천문대에서는 외계행성 트랜짓 현상 관측을 중요한 연구과제로 수행하고 있으며, 전국의 청소년이 자신만의 장비를 통해 관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알려진 트랜짓 현상이 언제 일어나는지 미리 알 수 있도록 공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홈페이지에 공지하고 있는 외계행성 트랜짓 현상 예측 그래프를 그리는 도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 덕흥천문대 현재 전천 및 기상정보 : http://nysc.dothome.co.kr *** TransitSearch3 다운로드 링크 및 방법 : https://github.com/psychiee/Tr..

덕흥천문대 NYSC 1m 망원경으로 촬영한 천체사진을 필터별로 전처리 및 위치를 보정하고 RGB 합성을 수행하여 컬러 사진을 만들어내는 도구입니다. *** PyRGB 다운로드 (Python 3.X 버젼) *** pyrgb3-200520.zip drive.google.com *** 예제 파일 다운로드 *** 20171122.zip drive.google.com 0. pyrgb.par 기본 변수 저장 파일입니다. 이미지 파일 경로(WORKDIR), 새로운 파일명 접두어, 비닝 조건(BINNING), 이미지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별 찾기 조건; 찾을 별 개수(NSTARS), 정밀 맞춤을 위한 박스크기(BOX), 별 여부 판단기준(FWHMCUT), 포화상태 픽셀 값(SATU), 등을 기록하고, RGB 합성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