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대물프리즘을 활용하여 촬영된 남반구 별들의 스펙트럼 이미지로부터,

각 별을 구분하여 인식하고, 각 별의 스펙트럼을 추출하여 교육용으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이미 분광 표준별에 대한 스펙트럼은 따로 가지고 있으므로 여기서 추출한 스펙트럼을 활용하면

그 표준별 스펙트럼과 비교하여 다양한 별들의 분광형 분류를 직접 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1. 준비물

- Python 2.7 Ananconda package)

- 대물프리즘 이미지(.tif)가 저장된 폴더; 적위별로 폴더 존재

  ex) m01.0/4812_1648m1.0.tif

- 알려진 별위치 정보 파일 (PPM catalog)

https://www.dropbox.com/s/hdv8i8ujek3wzgz/ppm_b12.npy?dl=0

- 대물프리즘 이미지로 분석한 별 분광형 정보 파일 (HD number, spectral type)

https://www.dropbox.com/s/u5c60gxe7kr7k4x/sdat.npy?dl=0

- 이미지-좌표 변환함수 라이브러리 코드

trans.py

- 기본 변환인수의 추출 및 파일(.tmp) 생성 코드

make_tmp.py

- 대물프리즘 이미지에 별좌표를 표시하고 정밀 맞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

find_coord_of_plate_gui.py

- 대물프리즘 이미지의 스펙트럼을 추출하여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코드

extract_spec_from_plate.py


2. 사용법


- 변환인수(.tmp) 파일을 지정한 폴더에 파일별로 자동 생성합니다. 

 ** 이미지 파일명(.tif)을 기준으로 기준 좌표를 생성하여 변환인수(.tmp) 파일을 생성합니다.

$ python make_tmp.py [폴더명]

  ** 생성된 변환인수 파일명 및 기록내용

  ex) m01.0/4812_1648m1.0.tmp

  252.55, -0.8, 5.15, 5.20, 0, 1, 1

  (중심좌표RA[deg], 중심좌표Dec[deg], RA너비[deg], Dec너비[deg], 회전각[deg], y방향뒤집기[0/1], x방향뒤집기[0/1])


- 각 대물프리즘 이미지를 읽은 후, 기존 변환인수(.tmp) 파일을 기반으로 이미지에 별 좌표(ppm catalog) 출력

$ python find_coordinate_of_planet_gui.py [폴더명] [파일명]

  ** 파일명은 뒤의 확장자를 뺀 이름만 입력합니다. 


- 화면에 출력된 이미지와 빨간 십자표시를 바탕으로 별 위치 정보와 이미지의 스펙트럼 위치를 맞춤.

 



- [폴더명] 하위에 "spec"이라는 폴더를 생성한 후, 맞춤된 정보를 바탕으로 스펙트럼 이미지 추출

$ python extract_spec_from_plate.py [폴더명] [파일명]



3. 출력물

- 사용한 변환인수 값들과, 알려진 별의 좌표가 빨간 십자로 표시된 결과물

  comb_[사진번호]_[좌표정보].pdf


- 추출된 스펙트럼 표시 이미지 (추출한 별 번호가 같이 기록됨)

  chart_[사진번호]_[좌표정보].pdf


- 추출된 각 별의 스펙트럼 파일; [폴더명]/spec 폴더에 저장

  [적경][적위]_[HD번호]_[사진번호].png / 222935+102213_000000_9779.png


공지사항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